-
개포 프레지던스자이 로 탈바꿈하는, ‘개포4단지 재건축’ 에 대해 살펴보다가, 재밌는 영상 하나를 봤네요ㅎ 아파트 재건축 현장 안에 웬 흉물이~?!
2021. 8. 6.
안녕하세요. JD Works의 제이디(JD)입니다.
최근 서울 재건축 아파트에 대해 푹~ 빠져있는 바람에 ㅎ
관련 정보들을 열~씸히 살펴보는 중,
흥미로운 영상을 하나 보게 되어 여러분과 함께 공유해볼까 합니다.
제이디(JD)의 [슬기로운 부동산 생활] 포스팅을 통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바로 이 영상인데요.
https://www.youtube.com/watch?v=VC1O2WnJXIc&t=222s
(참고로, 전 이 채널과는 정말정말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오해 없으셨으면 해요~^^)
현재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인,
개포주공4단지 재건축 현장입니다.
개포 프레지던스자이 흉물스러운 아파트 2개 동이 떡~하니 자리잡고 있는 모습이에요.
개포 프레지던스자이 그 내부를 보면,
도저히 ‘미래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그런 모습이 아닙니다.
‘연탄 아궁이를 이용한 바닥난방 문화’의
역사적 흔적을 남기자는 취지였다고 하는데,
정작 이곳은 재건축 직전까지
‘아궁이’를 사용하는 곳은 한 곳도 없었다고...ㅎㅎㅎ
어이없을 ‘무’ ㅋㅋㅋ
개포 프레지던스자이 심지어 안전진단 D등급.
안전 상의 문제도 심각 상황인데...
도대체 어쩌다가 이런 결과물이 나왔을까요...?!
영상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어이없을 무 2012년 미래유산정책 때 나왔던
일명, ‘재건축 흔적 남기기’의 결과물이라고 합니다.
솔직히,
‘흔적 남기기’ 인지, 아니면 ‘흉물 남기기’ 인지...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근데 이런 말도 안 되는 일이 일어나고 있는 곳이,
심지어 여기만 있는 게 아니라고 합니다.
개포주공4단지 외에도... 음... 가만 보면,
'강남3구'에 있는 재건축 단지들에는 대부분
이런 제한들이 걸려있었던 건가 봐요.
이러니 재건축이 힘들지...
당시 서울시(장)은,
강남3구에서 재건축을 하는 게 영~ 마음에 들지 않았던 걸까요?
도대체 왜 유독...?
그저 우연일까요?
음...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
그런데...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는데도
당사자들은 얘기를 크게 할 수 없었나봅니다.
개포 프레지던스자이 그 이유는,
재건축 인허가권을 서울시가 쥐고 있기 때문.
대표적인 전시행정 정책인
미래문화유산정책을 만든 게 서울시,
강남3구 재건축 인허가권을 쥐고 있는 것도 서울시.
힝~ 눈치 보여잉~~ ㅠㅠ 이러니...
그들의 눈치를 보느라 어쩔 수 없었겠죠.
저라도 그럴 것 같네요. ^^;
어찌 보면,
중구난방에 누더기,
그야말로 ‘실적 남기기용’으로 전락해버린
지금의 부동산 대책들과 크게 다르지 않아 보입니다.
정말로,
어떤 부동산 전문가분이 말했듯이,
‘누가 누가 신기한 정책을 내느냐 시합이라도 하는 듯’ 합니다.
하지만,
최근 많~~은 것들이 바뀌었죠.
이 문제에 대해서도 변화의 움직임이 일어나는 듯 합니다.
변화의 바람 역시 한국 사람의 의지와 끈기는 정말 대단한 것 같아요^^
과연 앞으로 어떤 변화의 모습이 보여질지!
대한민국 부동산을 너어무나도 사랑하는 1인으로써
많은 기대를 해봅니다. ^^/
넵~! 그럼,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까지 하는 걸로 하겠습니다.
내일은 더욱더 재밌는 소식으로 찾아올께요~
바이바이~^^/
'부동산 토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