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쁘다 바뻐 현대사회 쉽게 일하기 프로젝트 -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요즘처럼 세금 계산 엄~~~청 복잡해졌을 때, 써먹기 좋은 꿀팁 2가지!
취득세라 함은,
아파트나 빌라, 건물 등의 부동산이나 또는 자동차, 기계장비, 선박 등의 동산
나아가 어업권이나 광업권, 골프/콘도 회원권 등의 이용권과 같이
유무형의 재화를 취득하게 되는 경우에 납부하게 되는 대표적인 지방세의 한 종류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아파트'를 매매를 통해 취득하게 되는 경우
그러한 사실 발생(ex. 잔금) 후 60일 이내에 소재지에 있는 구청이나 군청에 신고를 해야 하고,
만약 신고일 or 납부일을 어기게 되는 경우 가산세를 부담해야 합니다.
요즘 대한민국에서 부동산에 관심이 없는 사람은 정말 단 한 명도 없을거라 생각되는데요. ㅋ
부동산을 매입하고자 할 때 흔히 보면 매입가격만 신경을 쓰지 사실 취득세는 전혀 신경쓰지 않다가
잔금 때 되어서 깜짝 놀라곤 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자금이 준비되지 않아 남감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항상 부동산을 생각할 때 취득세 부분도 빼놓지 않고 꼼꼼히 계산해봐야 할 텐데요.
그럼! 이 취득세를 쉽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없으면 제가 이렇게 소개도 안 했겠지요. ㅋㅋ
바쁘다 바뻐 현대사회에 일 어렵게 하는 거 아닙니다.
냉콤 두들겨보고 얼른 파악할 수 있어야
의사결정도 빨리 할 수 있고,
또 일 잘 한다는 소리도 듣고 하지 않겠어요? ㅎㅎㅎ
그래서!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2 가지 방법에 대해!
아래와 같이 상세히, 차근차근 설명해 놓았습니다.
그저 사진 보시면서 하나씩 따라하시면 끝~!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ㄱ ㄱ ~!
[첫 번째 방법] 1. 초록창 검색란에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검색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 첫 번째 방법 초록창 검색란에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를 입력하면
위와 같이 간단한 계산기가 맨 위에 나타납니다.
간단한 내용의 경우에는 요걸 이용해서 빠르게 알아내는 것도 손쉬운 방법이 되겠는데요.
모의로 또 한 번 제가 입력을 해볼까요?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 첫 번째 방법 예시)
전용 59형(공급 25평형) 아파트를 7억 원에 매입하려 한다
라고 가정하고 위와 같이 입력을 한 후
아래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해 보면,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 첫 번째 방법 보시는 바와 같이,
취득세와 지방교육세, 농어촌특별세가 구분되어 표시되고,
세액 합계는 1,286 만 여원 나온다~ 라고 나오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보시면 사실, 뭔가 중요한 조건이 한 두개 빠져있는 게 느껴지시죠? ㅎㅎ
바로, '조정대상지역 여부'와 '다주택자 여부' 입니다.
그러니 이 첫 번째 방법은
비조정대상지역의 물건인 경우,
그리고 현재 무주택자의 경우에 사용하기 적당한 방법이 되겠구요.
자! 그럼 좀 더 정확하게 계산해보고싶은 분들을 위해
두 번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두 번째 방법] 1. 검색창에 '위택스' 검색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 두 번째 방법 [두 번째 방법] 2. 위택스 홈페이지 메인화면에서 '지방세정보' → '지방세 미리계산' 클릭!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 두 번째 방법 위택스 홈페이지 메인 화면에서
위와 같이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우리들이 늘~~ 귀찮아 하는, '회원가입' 이나 '로그인' 이런 거 할 필요 없습니다.
모바일로는, 음....
안타깝게도(?) 앱을 깔고 이용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조금 있습니다.
모바일 버젼은 추후에 또 한 번 포스팅 해보도록 하구요.
아무튼 귀찮은 과정 없이 그냥!!!
홈페이지 들어가서 클릭! 클릭! 만 하시면 되시니,
편안하게 따라오세요오~^^/
[두 번째 방법] 3. 취득세 부분에서 해당 정보 입력 후 '세액미리계산하기' 클릭!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 두 번째 방법 위 빨간 네모 부분,
취득 대상물에 대한 각종 정보 등을 입력해줍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역시나 '과세표준액(매매가)' 부분이 되겠는데요.
실제 거래 가격을 입력해주면 됩니다.
이 부분이 중요한 게,
매매가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게 되거든요. ^^ㅎ
음... 그리고 앞서 말씀드린,
'조정대상지역 여부'와 '다주택자 여부'에 대해 체크하시고
마지막 세액미리계산하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모의로 한 번 입력해보겠습니다.
아까와 동일한 예시로 입력해볼께요.
앞서 나왔던 결과와 어떻게 달라지는 지 한 번 보시면 좋겠습니다.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 두 번째 방법 예시)
전용 59형(공급 25평형) 아파트를 7억 원에 매입하려 한다
그리고,
내가 사려는 물건은 '조정대상지역' 에 있는 물건이고,
또 나는 현재 이미 아파트 1 채를 갖고 있고,
7억 원을 내고 추가로 또 한 채를 매입하려 한다
라는 가정입니다. ^^
위 예시 내용에 따라 위와 같이 입력을 하고
미리계산하기 버튼을 눌러주면~~~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 두 번째 방법 뿅~~!!
네... 이렇게 나타나게 됩니다.
앞서 첫 번째 방법에서는 1,286 만 여원이 나왔는데,
두 번째 방법으로 계산을 해보니
이와 같이, (무려) 5,880만 원이 나왔네요. ㅡ.,ㅡ흐미~~
이렇게,
똑같은 아파트를 구입하는데,
개인의 조건에 따라 요로코롬 확연히 다른 금액이 나오는 걸 볼 수 있겠습니다.
이러니,
미리 계산 잘 해서 가지 않으면
잔금날 정말로 깜~~~짝! 놀라는 일이 생길 수도 있겠네요.
생각만 해도 왠지 무시무시합니다.
급! 조건별 취득세율이 어떻게 되는지도 갑자기 궁금해져서ㅋ
위택스에 나와있는 취득세율 표를 아래와 같이 첨부해봅니다.
[참고] 취득세율 표 내 집 장만하려면 여기저기 돈 나갈 데가 너무 많다 ㅠㅠ 넵! 이렇게 해서 오늘은,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
손쉽게 계산하는 방법 2 가지
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봤습니다.
내일은 더욱 유익한 정보로 찾아오겠습니다.
바이바이~^^/
'부동산 토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