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제이디(JD) 인사드립니다.
즐거운 주말입니다.
그런데 미세먼지는 아주그냥 X이네요. ㅎㅎㅎ
호주 바이런베이 과거 한때 제가 몇 년간 머물렀던,
'호주'의 맑은 하늘 잠깐 감상하시면서
(거 참 어울리지 않게...ㅋ)
미세먼지로 꿀꿀~해진 기분을 잠시 날려버리고!
자! 어제는 제가,
일시적 2주택 비과세 관련해서
최근 기획재정부에서 내놓은 유권해석에 대해 말씀드렸었는데요.
1가구 2주택 양도소득세 / 기획재정부 유권해석(2021.11.02) / 양도소득세 계산기 / 다주택자가 2021.1.
안녕하세요. 제이디(JD) 인사드립니다. 바로 얼마 전이죠. 2021년 11월 02일, 기획재정부에서 부동산 일시적2주택 관련하여 유권해석을 내놓았습니다. 이번 정부에서 부동산 관련 대책을 아주 그냥
jdworks8178.tistory.com
오늘은 이와 관련하여,
그렇다면 과연!
일시적 2주택 비과세 적용 후 최종적으로 남게 되는 1주택에 대해,
그 주택의 보유기간은 언제부터 기산될 것인지에 대한 유권해석에 대해!
이에 대한 결론을 내리고 마무리 지어볼까 합니다.
뭔가 또 슬~쩍 복잡한 느낌이 들죠? ㅎㅎㅎ
양도소득세 계산기 자! 자! 겁먹지 마시고,
저 제이디(JD)가 또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역시나 이에 대한 유권해석이 나왔다고는 하지만,
마찬가지로 여전히 복잡하기 그지없는데요.
여기서는 가장 대표적이고 논란이 가장 많았던
핵심부분 2가지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정리해보겠습니다.
1. 직전 주택을 일시적 2주택으로 비과세 양도한 경우, 남은 신규주택(최종 1주택)의 보유기간은?
→ 최종 1주택의 보유기간은 '취득일' 부터 기산한다.종전 주택이 특례 적용을 받아 비과세가 적용되었다는 것은,
해당 주택이 투기의 목적으로 취득한 것이 아니라,
실 수요 목적으로 취득한 것으로 보겠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종전 주택을 양도하여 비과세 혜택을 받은 후
최종적으로 남은 1주택을 매도할 경우
비과세를 위한 보유기간은 '취득일'로부터 기산하게 됩니다.
아실만한 분들은 아시겠지만,
이 내용이 사실상 엄청나게 중요한 부분입니다.
많이들 공감하시죠? ^^ㅎ
2. 일시적2주택자가 종전 주택(A)을 비과세로 매도하고 1주택(B)이 된 상태에서, 이후 신규 주택(C)을 추가 취득해서 또 다시 일시적2주택이 된 경우 종전 주택(B)의 보유기간은?
→ 종전 주택(B)의 '취득일'로부터 기산한다.앞서 1번에서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적용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일시적2주택의 종전주택(A)을 비과세로 매도했으므로
이후 신규주택(C)을 취득해서 또 다시 일시적2주택이 되었다 하더라도
최종 일시적2주택 상에서의 종전주택(B)의 비과세를 위한 보유기간을
(무려) '취득일'부터 기산하게 된다는 얘기입니다.
양도세 계산기 그런데 이를 거꾸로 얘기해본다면 결국,
만약에 처음 일시적2주택에서의 종전주택(A)이 일시적2주택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서
비과세가 아닌, 과세로 양도하게 된다면,
이후 B 주택의 보유기간은 직전주택인 A의 '양도일'로부터 기산되게 되는 것!
따라서 결론은,
애초에 일시적2주택의 요건을 충실히 갖추고,
그에따라 비과세를 잘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되겠습니다.
일시적 2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반드시 받아야 한다!!! 넵! 이렇게 해서,
참~ 복잡하고 어려운 '일시적 2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요건'
정부의 우후죽순 부동산 대책들 때문에 생겨났던 혼란들에 대해
이렇게 한 번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봤습니다.
솔직히 시장에서 오죽 답답했으면 이런 일이 일어났나~ 싶기도 한데,
아무튼 중요한 건,
우리들의 재산은 우리 손으로 지켜야 한다는 것이겠죠?
그만큼 각자 미리미리 공부해놓을 필요가 있겠다는 생각이 늘 들게 되네요.
흐음~~ 그럼 전 이만 물러가도록 하겠습니다.
조만간 또 올께요~
바이바이~^^/
'부동산 토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