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는 예나 지금이나 대표적인 배당주로 굉장히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기업입니다.
더군다나 최근 2차전지 관련주들이 대부분 말그대로 '떡상'을 하는 바람에 늘 투자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고있는 종목이기도 한데요.
최근에는 규모가 엄청나게 커져서 시가총액이 무려 48조원이나 되어 현재 코스피 5위를 기록하고 있는, 엄청나게 성장한 기업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포스코는 사실 철강, 제철산업으로 유명한 포항제철로 시작한 기업인데 현재는 친환경인프라 사업을 핵심으로 해오고있는 기업이기도 하지요.
현대 사회에서 전 세계적인 화두가 친환경에너지인만큼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도 무궁무진해보이기 때문에 투자자 입장에서는 결코 놓칠 수 없는 종목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안정적인 배당금 투자나 혹은 기업 성장에 크게 배팅할 수 있는 기업을 찾고계신다면, 아래 내용을 한번씩 참고해보시고 투자에 고려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목차 ▼
-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 현재 주가 살펴보기
-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 배당금 및 배당일 알아보기
-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 주가 전망 살펴보기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 현재 주가 살펴보기
2023년 8월 29일 종가 기준,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의 주가를 살펴보면 아래 사진과 같은데요.
많이들 아시다시피, 포스코홀딩스를 주식창에서 검색하시기 위해서는 'POSCO홀딩스'라고 검색하셔야 하구요.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 주가 분석 및 관련 정보 등은 아래 링크를 통해 더욱 자세하고 정확한 소식들을 살펴보시길 추천드리겠습니다.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 배당금 및 배당일 알아보기
앞서 서론에서 잠깐 말씀드렸다시피,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는 대표적인 고배당주 종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배당금 자체가 매우 높은데 반해 주가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서 배당률이 무려 6% 대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보통 3%대가 넘어가면 고배당주로 분류한다고들 하는데,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는 6%대가 나오고 있으니, 고배당주로 유명한 종목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가 있구나 싶습니다.
아울러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의 배당금과 배당일 등과 같은 배당 관련 정보는 아래 표로 간단히 정리해보았으니, 간편하게 살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구분 내용 배당 구분 분기배당 배당 종류 현금배당 1주당 배당금 (원) 2,500 시가 배당률 (%) 0.6 배당금 총액 (원) 189,690,517,500 배당 기준일 2023.06.30 배당금 지급 예정일 2023.08.28 현재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의 배당금 지급 예정일이 2023.08.28입니다. 배당금 지급대상이신 분들께선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구요.
아울러 이쯤 되면,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의 앞으로의 주가 전망이 기대가 되는데요. 이어서 살펴보겠습니다.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 주가 전망 살펴보기
최근 2차전지 관련주에 대한 전망들이 온통 핑크빛들이라, 굳이 '얼마까지 가겠다' 등의 말들은 이제 좀 식상하게 들릴 정도일 수도 있겠는데요.
전문가들의 분석에 따르면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의 기업가치는 향후 10년 이네에 무려 740조원 정도까지 올라간다고도 하고,
심지어 목표 주가가 840만원을 넘을 수도 있다고도 하니, 그만큼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의 성장 가능성은 전문가들이 봤을 때에도 무궁무진하다고 평가되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다만, 대한민국의 기업 기술력은 세계 Top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2차전지라는 종목의 성격상 광물 의존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이 부분이 걸림돌이라면 걸림돌일 수도 있다는 전문가들의 조언도 있습니다.
특히 2차전지의 핵심 광물인 리튬 등이 워낙에 희귀 금속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대비책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니,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 원자재 관련 뉴스 바로보기 >> 이러한 점들을 기사 등을 통해 항상 예의주시 하셔서 투자에 참고하셨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울러, 이번 포스팅 내용과 함께 같이 확인하시면 더욱 유용한 정보들을 아래와 같이 모아봤습니다.
같이 한번씩 확인해보시고, 우리 생활과 경제 활동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익한 꿀팁 정보들을 많이들 얻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 함께 보시면 더욱 유용한 글들 ▼
2023.08.27 - [경제, 비즈니스 다이어리] - SK이노베이션 유상증자 발행가격 청약일정 신주인수권 주가 살펴보기
SK이노베이션 유상증자 발행가격 청약일정 신주인수권 주가 살펴보기
SK이노베이션 유상증자 발행가격과 청약일정, 그리고 신주인수권 매수가격과 SK이노베이션 현 주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는데요. 한동안 유상증자 시장에서 큰 일이 없었다가 이번 SK이노베이
jdworks8178.tistory.com
2023.08.25 - [경제, 비즈니스 다이어리] -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신청 방법과 2023 본인부담상한제 알아보기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신청 방법과 2023 본인부담상한제 알아보기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은 본인이 직접 조회하고 신청하지 않으면 아무도 알려주지 않고 또 돌려주지도 않는 금액입니다. 따라서 국민건강보험 환급금을 조회하는 방법과 신청 방법을 간단하게
jdworks8178.tistory.com
2023.08.23 - [경제, 비즈니스 다이어리] - 주택담보대출 계산기로 50년 주담대 금리 및 한도, 이자 살펴보기
주택담보대출 계산기로 50년 주담대 금리 및 한도, 이자 살펴보기
최근 대출 관련해서 단연 핫한 상품을 들자면 역시나! '50년 주담대 상품'을 꼽을 수 있을 겁니다. 그런데 최근 해당 상품에 대한 수요가 몰리면서 갑자기 만 34세 이하로만 제한하겠다는 방안을
jdworks8178.tistory.com
2023.08.24 - [경제, 비즈니스 다이어리] - 카카오뱅크 50년만기 주담대 '연령제한' 둔다. '만 34세 이하만 가능'
카카오뱅크 50년만기 주담대 '연령제한' 둔다. '만 34세 이하만 가능'
카카오뱅크가 최근 큰 인기를 끌고 있는 '50년만기 주담대' 상품에 대해 결국 '연령 제한'을 두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는 최근 금융 당국이 50년만기 주담대 상품에 대해 가계대출 급증의 주요
jdworks8178.tistory.com
2023.08.28 - [경제, 비즈니스 다이어리] - 직장인 필수템 1위! KB국민신용카드 다담카드, 최대 18만원 캐시백 혜택까지!
직장인 필수템 1위! KB국민신용카드 다담카드, 최대 18만원 캐시백 혜택까지!
KB국민신용카드 다담카드는 최근 직장인분들이 어려워진 경기 탓에 실속있고 혜택도 풍부한 신용카드를 찾는 추세 속에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KB국민은행 신용카드 상품입니다. 최근에는 최
jdworks8178.tistory.com
매월 최대 4만원 할인! 신한 딥오일카드 vs 삼성 ID ENERGY vs 현대 에너지플러스 에디션2, 주유비 아
휘발유 가격이 6주째 상승하면서 어느새 리터당 1,700원을 돌파한 후 끝을 모르고 계속해서 오르다보니, 주유비 부담이 날로 커지고 있다고 합니다. 가뜩이나 어려워진 경제 사정 속에서 주유비
jdworks8178.tistory.com
2023.08.21 - [경제, 비즈니스 다이어리] - 삼성전자 배당금 지급일 배당일 조회 및 배당금 확인방법 알아보기
삼성전자 배당금 지급일 배당일 조회 및 배당금 확인방법 알아보기
삼성전자 배당금 지급일 혹은 삼성전자 배당일이 다가오면서 많은 분들께서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우 주가 및 배당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삼성전자나 삼성전자우
jdworks8178.tistory.com
'경제, 비즈니스 다이어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뱅크 생활통장 & 모임통장. 최대 연10% 금리에 매일 생활비가 들어온다고? 계좌개설 이벤트 소식까지! (3) 2023.08.31 삼성카드 탭탭오, 17만원 현금 캐시백, 스타벅스 50% 할인혜택, 연회비 가입방법 알아보기 (2) 2023.08.30 직장인 필수템 1위! KB국민신용카드 다담카드, 최대 18만원 캐시백 혜택까지! (1) 2023.08.28 SK이노베이션 유상증자 발행가격 청약일정 신주인수권 주가 살펴보기 (2) 2023.08.27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 신청 방법과 2023 본인부담상한제 알아보기 (2) 2023.08.25